본문 바로가기

국내산행/산행(2019년)

지리산 서북능선 산행기(1219)

 

지리산 서북능선 산행기

(3년 만에 다시 서북능선을 종주하다)

 

 

 

 

 

 

 

 

1. 산행일자 : 2019. 12. 19

 

 

2. 참석자 : 전진수  

 

 

3. 산행코스 : 구인월-바래봉-정령치-만복대-노고단대피소

 

 

4. 교 통

    ▷12/18   사상(시외버스 15:00)-함양(시외버스 17:00)-인월

 

 

5. 숙 박 :  노고단대피소

 

 

6. 산행기

    지리산 천왕봉을 다녀온 지 2주 만에 3일간의 지리산 걸음을 계획한다. 이번에는 지리 주능선이 아닌 서북종주와 7암자 종주를 하기로 한다. 교통편을 고려하여 이리저리 코스를 그려본다. 3년 전 봄에 성삼재에서 인월로 서북종주를 하였으므로 거꾸로 걸어보기로 한다.

    하루에 종주를 끝내고 노고단 대피소에서 도착하기 위해서는 전날 인월에 도착하여야 하므로 오후 늦게 백무동행 버스에 올라 저녁에 인월에 도착하였다. 둘레길을 걸을 때 하루 묵었던 곳에 숙소를 정하고 아침 일찍 산행을 시작한다. 

          

 

 

덕두봉들머리(06:17)-덕두봉(08:02)-바래봉(08:47)-팔랑치(09:18)-세걸산(11:02)-큰고리봉(12:36)

-정령치(13:00)-만복대(14:05)-고리봉(15:23)-노고단대피소(16:40)

 

 

 

6시에 숙소를 나선다.

혹시 하여 전날 구인월 찾아가는 길을 먼저 알아둔 덕분에 쉽게 들머리에 선다.

그러나~~~

 

 

 

 

 

기억에 없는 들머리를 통과하자 바로 갈림길이 나타난다.

망설이다가 오른쪽 길을 선택하지만 산길이 아닌 임도길이다.

아마 어둠 때문에 갈림길에서 이정표를 놓친 건 아닐까?

그러나 그러려니 하고 계속 걷지만 정식 등산로 같지는 않다.   

 

 

 

 

 

새로 만들고 있는 듯한 길이 끝나고 산길이 시작되며 밝아지기 시작한다.

되돌아가기는 늦었고 올라가면 산길과 만날 것 같아 3, 40분 잡목을 헤치고 오르니 이정표가 보인다.

들머리 갈림길에서 왼쪽으로 들어서는 게 맞았다.

 

 

 

 

 

덕두봉에서 일출을 보려는 생각은 깨졌지만 그래도 이나마.....

 

 

 

 

 

1시간 35분 만에 오늘 첫 봉우리에 선다.

시작부터 알바를 하긴 했지만 거리상으로는 늦지는 않은 것 같다.

 

 

 

 

 

작년 봄 이후로 1년 반 만에 다시 바래봉에 선다.

그때는 등산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뤄 정상석도 보지 못했지만 오늘은 혼자 독차지를 한다.

정 선배에게 전화가 오고 일본 남알프스, 몽블랑 트레킹을 결정한다.

 

 

 

 

 

 

 

 

 

 

철쭉 철에만 인기가 많은 바래봉에서의 조망을 실컷 즐기고 약수터로 내려간다.

눈이 있었으면 더 좋았을 텐데..... 

 

 

 

 

 

 

 

 

 

 

천왕봉을 비롯한 주능선을 파노라마로 잡아본다. 

 

 

 

 

 

수통은 가득하지만 물맛을 안 보고 갈 수는 없고.....

 

 

 

 

 

작년에 하산을 했던 용산 주차장 갈림길에서 잠시 쉬어간다.

 

 

 

 

 

 

 

 

 

 

 

 

 

 

 

 

 

 

 

 

세동치까지 지나온 바래봉과 왼편으로 도열해 있는 지리 주능선을 흘금거리며 편안한 길을 걷는다.

여기로 올라선 적도 있고 내려선 적도 있는 고개이다.

 

 

 

 

 

전망 좋은 이 봉우리를 지날 때면 늘 정상석이 없는 것이 안타깝다. 

 

 

 

 

 

 

 

 

 

 

 

 

 

 

 

백두대간 갈림길인 큰고리봉에도 역시 정상석은 없다.

 

 

 

 

 

 

 

 

 

 

정령치 직전에 있는 남원 개령암지 마애불상군을 보러 다녀온다.

몇 번을 지나치면서도 가 본 적이 없는 곳이다. 

 

 

 

 

 

 

 

 

 

 

3년 전에 공사가 한창이더니 정령치는 많이 변해있다.

커다란 표지석도 새로 생겼다.

가게는 문이 굳게 닫혀있고 주차장은 텅 비어있다.

점심을 먹으려 했는데..... 

 

 

 

 

 

혹시 몰라서 준비한 빵 두 개로 허기를 채우며 걷는다.

배고픈 산행이다.

3년 만에 만나는 만복대가 왜 이리 반가운지~~~

 

 

 

 

 

서북능선상에 있는 고개는 전부 "치"로 이름이 붙여져 있다.

지나온 고개만 해도 팔랑치, 부운치, 세동치, 정령치 그리고 묘봉치 까지 5개나 된다.

 

 

 

 

 

오름길에 그럴싸한 소나무가 한 그루 있길래 올라섰더니..... 

 

 

 

 

 

산길에서 만나는 두 번째 작품(?)을 발견한다.

오래전에 영남알프스 오룡산에서 장난스러움을 처음 보았는데 그 후에 누군가가 없앴다.

아마 다음에 오면 이것도 없지 않을까?

 

 

 

 

 

 

 

                                                                                                                                

2013년 오룡산 사진

 

 

오늘 종주의 마지막 봉우리에 서자마자 시계를 본다.

노고단대피소까지 충분한 시간이 남았다.

배낭을 내려놓고 사방팔방으로 트인 조망을 보며 한참을 즐긴다.

지나온 만복대와~~~

 

 

 

 

 

성삼재와 기울기 시작하는 서녘 하늘을 흘끔거려 보기도 하고~~~

 

 

 

 

 

셀카까지 남겨보는 여유를 갖고~~~

 

 

 

 

 

내일 아침에 오를 노고단에 눈길을 준다.

 

 

 

 

 

반야봉은 내일 오를지를 아직 정하지 못했다.

 

 

 

 

 

실컷 조망을 즐기고는 종일토록 발자국을 남겨 놓은 길과 작별을 하며 성삼재로 내려간다. 

 

 

 

 

 

내 등짝에 붙어 오느라 너도 수고가 많았다~~~

 

 

 

 

 

어, 여기는 당동치가 아니라 당동고개이네.

 

 

 

 

 

새로 생겼구나?

 

 

 

 

 

성삼재에 도착하여 저녁거리를 장만하고 커피를 한 잔 테이크아웃한다.

배고프다~~~

 

 

 

 

 

친절하게 언제 도착하는지를 물어온 국공직원의 전화를 받고 20분 만에 대피소에 도착한다.

 

 

 

 

 

내 보금자리를 정리해 놓고 취사장으로 간다.

계획대로 깔끔하게 지리산 서북종주를 마쳤지만 배고픈 하루였다.

아뿔싸, 내일 점심을 준비 안 했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