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산행/산행(2017년)

문지골/용소골 산행기-둘(0430)

 

문지골/용소골 산행기(2)

(멋진 야영을 하며 이틀간 억수로 걸어보다)

 

 

 

 

 

 

 

 

 

1. 산행일자 : 2017. 4. 29-4. 30(1박 2일)

 

 

2. 참석자 : 정석권, 곽정옥, 전진수

 

 

3. 산행코스 : 석개재-낙동정맥길-문지골-용소골-경북도계길-삿갓재-석개재

 

 

4. 숙 박 : 용소골 야영

 

 

5. 교 통

      4/29   울진(승용차 05:50)-석개재

    ▷4/30   석개재(승용차 18:300)-서울/울진  

 

 

6. 산행기

    멋진 야영지에는 이슬 하나 내리지 않았다. 곽 처장이 준비한 일본 알파미와 된장국으로 아침을 먹고 텐트를 철거한다. 오늘도 먼 여행이 될 것이다.

 

    

 

 

 

 

 

 

 

 

 

 

 

 

 

 

 

 

 

    <둘째 날> 

    

             

야영지(07:13)-3용소(07:45)-임도시작점(08:02)-삿갓봉들머리(09:02)-삿갓봉(13:57)

-문지골갈림길(14:40)-용인등봉(15:47)-석개재(17:52)

 

 

 

어제저녁에 길을 잃은 산객들을 안내했던 길을 또 걷는다.

 

 

 

 

 

 

 

 

 

 

 

 

 

3 용소에서 야영 중인 분들은 아직 식사 전이란다.

정 선배가 딴 두릅을 건네고 임도로 올라선다.

 

 

 

 

 

 

 

응봉산과 삿갓봉 들머리인 임도 꼭대기까지도 한 시간이 소요된다.

한 달 전에 장 차장과 비를 맞으면서 걸었던 길이다.

 

 

 

 

 

 

 

 

 

 

삿갓봉까지는 경상북도 도계 산행길이며 안일지맥 길이기도 하다.

표지기가 가끔씩 눈에 띄지만 길이 선명하지가 않아 두어 번 길을 놓친다.

 

 

 

 

 

 

 

 

 

 

임도 끝 들머리에서 삿갓봉까지 세 시간이면 될 줄 알았다.

그런데 3시간이 지났는데 아직도 1.4Km가 더 남았다.

 

 

 

 

 

 

 

 

 

 

높은 안테나가 있는 삿갓봉 직전에서 버너를 지핀다.

물이 없어서 700CC로 라면 세 개를 끓인다.

라면과 함께 끓인 두릅이 맛나다.

 

 

 

 

삿갓봉에는 정상석이 없다.

인증샷 하나 달랑 남기고 얼른 자리를 뜬다.

 

 

 

 

 

 

 

 

 

 

 

 

 

문지골 갈림길에 도착하여 지금부터는 어제 온 길을 반대로 걷는다.

세 시에 석개재에 도착하는 것은 어림 반푼어치도 없고.....

 

 

 

 

 

 

 

 

 

 

물도 떨어지고 정 선배는 석개재에서 바로 서울로 간다기에 할 수 없이 고 차장에게 연락한다.

"물, 맥주, 사이다, 담배 좀 부탁할게~~~ 미안해~~~"

 

 

 

 

 

 

 

6시가 다 되어서 드디어 석개재에 도착한다.

어제 출발 기준으로 35시간 만이다.

 

 

 

 

고 차장 덕분에 이틀간의 고난했던 여정을 싸맥으로 마무리 한다.

5월 하순경에 설악에서 만나지요~~~

 

 

 

 

어제, 오늘 힘들었던 여정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내 손을 정 선배님이 핸드폰에 담았다.

ㅋㅋ 사서 하는 쌩고생의 흔적~~??

이생진 시인의 "벌레먹은 나뭇잎"이 생각난다.

 

 

나뭇잎이 벌레 먹어서 예쁘다.
귀족의 손처럼 상처 하나 없이
매끈한 것은
어쩐지 베풀 줄 모르는
손 같아서 밉다.
떡갈나무 잎에 벌레구멍이 뚫려서
그 구멍으로 하늘이 보이는 것이 예쁘다.
상처가 나서 예쁘다는 것은
잘못인 줄 안다.
그러나 남을 먹여가며
살았다는 흔적은
별처럼 아름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