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산행/산행(2014년)

덕유산 포토 산행기(0823)

 

덕유산 포토 산행기

(처음으로 칠봉을 오르다)

  

 

 

 

 

1. 산행일자 : 2014. 8. 23~8. 24(1박 2일)

 

2. 참석자    : 황경하, 조창희, 이승규, 전진수

 

3. 산행코스 : 

    구 간 : 향적봉/남덕유산

       -제1소구간 : 인월담→칠봉→향적봉→중봉→백련사→인월담(18.5Km)

       -제2소구간 : 영각사→영각재→남덕유산→영각재→영각사(7.2Km)

 

 

 

4. 교 통

    ▷ 8/23  무주리조트(승용차)→덕유산 야영장

    ▷ 8/24  야영장(승용차)→영각사→울진

 

5. 숙박 :

    ▷ 8/23  덕유산 야영장  

 

6. 산행기

    올해는 노사 한마음 다짐대회가 무주에서 개최되어 토요일, 일요일 양일간 사업소 동료들과 향적봉과 남덕유를 오르기로 한다. 종주를 하고픈 마음은 굴뚝같지만 덕유산 양대 봉우리를 오르는 것으로 대신한다.

 

   

    <첫 째날>  

 

 

야영장-인월담-설봉샘터-칠봉-설천봉-향적봉-중봉-오수자굴-백련사-인월담-야영장

 

 

    야영장에서 인월담으로 가는 자연관찰로를 걷는다.

생각했던 대로 칠봉으로 오르는 이정표가 나타난다.

일행 중 두 명은 덕유산이 처음이고, 나는 칠봉을 처음 오르게 된다.

자, 출발 전에 인증샷~~~

 

 

 

 

 

 

석간수인 설봉샘터는 신기할 정도로 물이 차갑고 수량이 풍부하다.

샘 냉기로 인해 그 앞에 서니 곧 추워진다.

이렇게 좋은 곳을 지나칠 수 없지?

막걸리잔이 돌아간다.

 

 

 

 

 

 

 

 

 

 

 

 

나도 일행도 처음 올라선 칠봉은 헬리포터이다.

정상석 대신 이정목이 하나 서 있다.

 

 

 

 

 

 

 

 

 

 

 

 

칠봉에서 얼마 걷지 않아 스키장이다.

보기 드문 산행이 시작된다.

눈 없는 스키 슬로프를 30분 정도 걸어 설천봉에 도착한다.

 

 

 

 

 

 

 

 

 

 

일행이 도착할 때까지 응달에서 바람을 쐬며 휴식한다.

향적봉을 오르내리는 등산객 아닌 관광객이 매우 많다.

 

 

 

 

 

 

3년 전 여름에 올랐던 향적봉 정상석 앞에 선다.

일행 모두가 즐거워한다.

점심시간이 늦은지라 인증샷을 몇 장 남기고 대피소로 내려간다.

 

 

 

 

 

 

 

 

 

 

라면과 햇반 그리고 김치가 전부이지만 시장했던 터라 맛나게 점심을 먹는다.

물론 막걸리도 빼놓지 않는다.

 

 

 

 

머릿속에 있던 코스를 수정한 지 오래다.

오수자굴로 내려가기로 하고 일행을 앞세운다.

 

 

 

 

 

 

 

 

 

 

 

 

 

 

일행이 중봉에 모두 도착한 후에 대간길과 덕유산 종주길 그리고 우리가 가야 할 길을 알려준다.

마음 한 켠에는 종주길을 걷지 못하는 아쉬움이 자리한다.

그렇지만 일행들과의 느긋한 산행도 못지않게 즐겁다.

시간이 많이 지체되고 있으나 모른척하며 걷는다.

 

 

 

 

 

 

 

 

 

 

오수자굴은 겨울에만 몇 번 지났는데 굴 안으로 물이 흐르는 것은 처음 본다.

아마 겨울에는 얼어서 물소리가 나지 않았나 보다.

 

 

 

 

 

 

계곡에서 족탕이라도 하고 싶은 생각을 꾹꾹 참으며 백련사에 도착한다.

아마 약간 어두워서야 야영장에 도착할 것 같다.

큰길을 걸어 다시 인월담에 도착한다.

6시간 30분 정도를 예상했으나 8시간 30분이 소요되었다.

무사하게 도착한 것이 감사할 다름이다.

야영장에서의 삼겹살 파티를 기대하며 오전에 온 길을 다시 걸어 야영장을 향한다.

어둠이 스며든다.

 

 

 

 

 

 

 

 

 

 

 

 

 

<둘 째날>  

 

 

영각탐방지원센터-영각재-남덕유산-영각재-영각탐방지원센터

 

 

    야영장에서 출발이 늦은지라 황점에서 오르기로 한 계획을 수정하여 영각사에 도착한다.

남덕유산을 왕복하기로 한 것이다.

그래도 황점 들머리에서의 인증샷은 한 장 남겨둔다.

 

 

 

 

 

 

 

 

여름에 이곳에서 남덕유를 오르기는 처음이다.

겨울에 몇 번 올랐는데 그때는 계곡이 이렇게 길게 이어지는지 몰랐다.

 

 

 

 

 

 

조 팀장 걸음이 점점 늦어진다.

아마 어제 무리를 한 것 같다.

셋이서 정상까지 가기로 하고 내려오는 중에 만나기로 한다.

 

  

 

 

 

 

 

 

 

 

짙은 안개가 오락가락한다.

건너편 무룡산은 머리를 내밀었다가 감추었다가를 반복한다.

 

 

 

 

 

 

정상에 이르는 계단을 세며 천천히 오른다.

그러다가 까먹는다.

내려올 때 다시 세리라. ㅎㅎ

 

 

 

 

정상은 많은 등산객들로 붐빈다.

풍경이 너무 멋지다.

디카와 휴대폰을 막 눌러댄다.

그리고 정상주를 한 잔 돌리고 하산을 시작한다.

조 팀장과 함께 인증샷을 남기지 못한 게 아쉽다.

 

 

 

 

 

 

 

 

 

 

 

  

 

 

 

 

 

 

 

 

 

 

 

 

 

 

 

 

맞은편 봉우리에서 조 팀장을 만난다.

그래도 여기까지 올라온 게 신통하다.

 

 

 

 

 

 

 

 

올라갈 때는 2시간 20분가량 걸렸는데 1시간 15분 만에 하산한다.

500m마다 쉬던 것과는 달리 딱 한 번 쉬고 달리듯 내려왔다.

탐방센터 화장실에서 대충 씻고 옷을 갈아입고 이틀간의 산행을 마무리한다.

 

 

 

 

 

 

초계탕이란 음식을 처음 먹어본다.

차가운 야채와 육수에 닭고기 살을 섞어서 먹고 나중에 메밀국수를 먹는 요리이다.

맘에 든다.